자라병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자라병은 야외에서 술, 물을 담을 때 사용하던 용기이다. 고려시대 자기는 상감청자 외에 흑유계자기(黑釉系瓷器)와 철사유자기류(鐵砂釉瓷器類) 등이 제작되었다. 흑유는 산화철 성분이 많은 유약을 두껍게 발라서 흑색 또는 흑갈색을 띠는 자기를 말한다. 대부분 그릇이 묵직하며 유약의 농도에 따라 흑유자기 또는 흑(갈)유 자기로 부른다. 흑(갈)유 자기는 황해남도 배천 원산리에서 청자와 함께 출토되었으며,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에서는 상감청자와 함께 나왔다. 또한 해남 진산리 일대의 가마터에서는 녹갈유도기와 함께 흑(갈)유 자기 조각들이 많이 발견되었으며, 충남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 일대에서는 15~16세기 무렵의 귀얄분청자와 함께 흑유자기가 출토된 바 있다. 특히 공주 학봉리 일대에서 발견된 흑유자기 약탕기나 약그릇들 중에는 불에 닿는 굽주변 부분에 내열 처리로서 백토분장을 한 것도 보인다. 흑유의 그릇의 형태는 주로 납작병, 장군, 매병 종류가 많다. 이 병은 아가리가 짧으며 밖으로 바라져 있다. 생긴 모양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둥이에 끈을 매어 허리춤이나 말안장 등에 묶으면 휴대하기에 편리하게 되어있어 여행용 물병이나 술병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등에는 거북문양을 양각하였다. 볏짚으로 새끼를 엮어서 만든 그물형태의 집에 넣어 가지고 어깨나 등에 메고 다녔기 때문에 색상은 그리 중요하지 않았던지 자연스럽게 보인다. 흑갈색유를 두껍게 시유해 흑색을 띠고 있으며 빙렬은 거의 없다. 바닥은 평편하다.
[활용설명]
흑유자라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서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로 제작하였다. 납작한 병의 형태는 지금은 거의 볼 수 없지만 이러한 독특한 형태를 통해 자기가 가진 다양한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다.
About this craft
1 textures
63,476 faces
155,357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