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과우리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약과우리는 받침과 우리로 분리되어 있으며 놋쇠로 만든 준경묘 제례용 제기이다. 제례에 쓰일 약과나 다식 등을 쌓을 때 보기 좋게 쌓아서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우리가 필요하다. 우리는 여덟 개의 살을 세운 모습으로 살에는 구름무늬를 더해서 표현하였다. 준경묘는 삼척에 위치한 조선 태조의 5대조인 목조의 아버지 양무장군의 묘로서 고종 광무 3년(1899)에 묘소를 수축하고 제각, 비각을 건축하였다. 특히 이 일대는 울창한 송림으로 되어 있어 원시림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산자수려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전주이씨 실묘로는 남한에서는 최고의 시조묘로 매년 4월 20일에 전주이씨 문중에서 제례를 지낸다. 1984년 8월 삼척군에서 영경묘와 함께 제각, 비각, 재실, 홍살문 등을 일제히 보수하였다.
[활용설명]
생활 속에서 특정한 공간을 꾸미거나 공간의 분위기 연출을 위해서 다양한 소품을 사용한다. 제례에 사용되었던 약과우리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 다양한 크기의 생활소품으로 제작하였다. 약과우리는 제례 때 사용하는 제기의 일종으로 조상숭배 의례행위가 갖는 신성함과 의미를 그대로 담고 있다. 우리의 살에 십장생의 하나인 구름문을 활용해서 장수의 의미도 반영한 모습이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74,010 faces
194,426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