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박물관
간석기(돌도끼)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돌도끼는 둥근 자갈이나 몸돌 혹은 큰 돌조각을 때려내어 다듬거나 갈아서 만들었으며, 땅을 파거나 나무를 벨 때 혹은 수렵, 전투용으로 사용되었다. 구석기시대 전기부터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심지어는 철기시대에까지 이르러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사용한 석기이다. 이 돌도끼는 전북 진안 진그늘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사암으로 제작되었으며 평면모양은 모서리가 둥근 긴 네모이고, 가로로 자른 면은 타원형을 이룬다. 날의 맞은편인 등쪽인 위아래면의 앞쪽에 떼기로 부피를 줄인 흔적이 약하게 남아있다. 그리고 양 옆면에는 쪼아낸 자국들인 또렷하게 남아있다. 떼기와 쪼기를 한 뒤에는 갈아냈으며 도끼의 날은 조갯날로 만들었다.
[활용설명]
돌도끼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해서 교육과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돌도끼가 사용되었던 당시의 생활상이나 무기류의 발전에 대해서 학습할 때 유용할 것이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65,714 faces
171,876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