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박물관
화살촉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화살촉은 긴 대에 꽂아 사냥이나 무기로 이용된 끝이 뾰족한 석기를 이른다. 대부분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초기 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되었다. 혈암, 이암, 편암, 판암,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으며 길이가 5㎝ 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는 것도 있다. 돌화살촉은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인 슴베가 있는가에 따라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돌화살촉은 전남 순천 죽내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셰일로 제작되었으며 뾰족한 뿌리의 마름모촉이나 크기가 작고 몸과 슴베의 경계를 빗금으로 표현하였다. 몸의 가장자리와 슴베에 이웃한 밑변에 깨진 부분이 있고 슴베의 능선이 납작하게 갈린 점에서 재가공된 화살촉으로 여겨진다.
[활용설명]
돌화살촉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해서 교육과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화살촉이 사용되었던 당시의 생활상이나 무기류의 발전에 대해서 배울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59,178 faces
121,855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