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박물관
간석기(화살촉)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화살촉은 긴 대에 꽂아 사냥이나 무기로 이용된 끝이 뾰족한 석기를 이른다. 대부분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초기 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되었다. 혈암, 이암, 편암, 판암, 혼펠스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으며 길이가 5㎝ 내외의 것이 가장 많으나 긴 것은 10㎝를 넘는 것도 있다. 돌화살촉은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인 슴베가 있는가에 따라 크게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無莖式)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돌화살촉은 전남 진안 진그늘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셰일로 제작되었으며 거칠게 갈렸다.
[활용설명]
돌화살촉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해서 교육과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화살촉이 사용되었던 당시의 생활상이나 무기류의 발전에 대해서 학습할 때 유용할 것이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73,322 faces
157,712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