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장경호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대부장경호는 음식을 담아두거나 운반하는 데에 쓰이는 그릇으로 목이 그릇 높이의 1/5이상을 차지하며 바닥에 굽다리가 달린 것을 말한다. 굽다리접시와 함께 신라 토기의 대표적 종류이다. 일반적 의미의 목이 긴 항아리는 신석기시대부터 보이며 청동기와 초기철기시대에도 지속된다. 특히 검은간토기는 청동기시대의 돌널무덤에서 주로 청동기와 함께 출토되는데 둥근 단지 위에 긴 목이 붙은 항아리로서 쇠뿔모양손잡이가 붙어 초기철기시대를 거쳐 원삼국시대의 와질토기 형식으로 변해간다. 본격적인 신라의 긴 목 항아리는 원삼국시대 말기에 회청색 경질토기로부터 출현하여 서기 300년경 이후에는 굽다리접시나 그릇받침 등과 함께 신라 토기의 주류를 이룬다. 긴 목 항아리의 특징인 납작한 밑바닥에서 둥근 밑바닥으로의 변화는 김해토기시대에 이루어진 것이지만 긴 목은 물의 운반과 저장 등 새로운 생활양식의 필요에서 생겨난 신라 토기의 자체적 발명으로 보인다. 신라의 긴 목 항아리는 전기, 중기, 후기로 가면서 양식상의 변화를 보인다. 전기(4세기 초~5세기 중엽)에는 목과 다리가 굵고 튼튼하며 다리의 구멍이 일렬로 뚫리는 반면, 중기(5세기 중엽~6세기 중엽)에는 몸이 입에 비해 작아지며 다리의 구멍은 2층으로 배치된다. 후기에는 다리가 축소되고 구멍의 크기도 작아진다. 이 장경호는 회청색 경질의 토기로 목이 길고 몸통은 둥근형태를 이룬다. 목부분에 파상문이 3단으로 조밀하게 시문되어 있으며 본래 뚜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 자연유가 흘러내린 흔적이 있다.
[활용설명]
항아리 형태를 그대로 재현해서 주방용품으로 개발한 것이다. 항아리는 지금도 많이 사용하는 생활용품이며 이를 통해 현대생활에서도 고대의 원시적인 미감을 맛볼 수 있다.
About this craft
1 textures
132,388 faces
341,371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