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제유개대부파수부완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유개대부파수부완은 가야의 전 지역에서 출토하는 것으로 주로 대가야계의 토기로 알려져 있다. 삼국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토기는 매장유구나 생활유적에서 주로 출토되므로 제사용, 또는 생활용기의 하나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되며 부장을 위해 따로 제작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유개대부파수부완은 경북 고령 지산동고분군에서 출토되었다. 뚜껑은 몸통이 약간 깊은 편이며 꼭지는 보주형이다. 드림턱은 짧게 튀어나왔고, 드림은 길게 바라졌으며 끝은 둥글게 처리되었는데 안쪽으로 비스듬하게 오목한 형태라서 약간 들린 느낌을 준다. 대부파수부완은 배신이 깊고 둥글며 아가리는 안으로 들어오다가 하늘을 향해 뻗었다. 입술 끝은 둥글게 처리되었으며 안쪽이 비스듬하게 오목한 형태이다. 굽다리는 나팔처럼 벌여졌으며 끝은 오목하게 처리되었다. 중간에 삼각형의 구멍이 뚫려있다.
[활용설명]
유개대부파수부완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 생활소품으로 제작하였다. 별다른 무늬가 없기 때문에 토기의 형태미를 잘 살리도록 하였다. 토기 자체에서 느껴지는 원시적인 미감을 맛볼 수 있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96,750 faces
244,536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