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직구호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대부직구호는 노형토기, 대부장경호 등과 같이 원삼국시대의 삼한지역의 매장유구에서 대표적으로 출토되는 토기의 한 종류이다. 삼국시대의 이른 시기까지 출토하는데 이른바 신라, 가야지역의 고식도질토기 단계를 대표하는 토기의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대부직구호는 경남 산청에서 출토되었으며 동그란 몸통에 나팔형 굽다리를 가진 회청색의 항아리이다. 목은 짧고 곧으며 몸통은 중위가 볼록하다. 몸통 상반부는 자연유가 산화, 박리되어 성형의 흔적을 찾을 수 없으나 아가리와 굽다리를 봤을 때 전면 회전물손질로 표면을 다듬은 것 같으며 몸통 중반부에는 격자타날 흔적이 남아 있다. 굽다리에는 중앙의 돌대를 경계로 하여 사각형의 투창이 3개씩 상하 엇갈리게 뚫려있다. 굽다리 하반부의 내외면은 불완전 소성에 의해 암적갈색을 띤다.
[활용설명]
대부직구호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 다양한 크기의 생활소품으로 제작하였다. 둥근 몸통과 굽다리 등을 중점적으로 표현한 모습이다. 회청색을 띠는 원래의 특성을 잘 살렸다. 토기제작의 정교함을 살펴볼 수 있으며 독특한 기형이지만 현대인에게 친근함을 준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67,796 faces
180,350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