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형기대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통형기대는 긴 원통을 세워둔 모양의 그릇받침을 일컫는다. 영남지방에서는 발형기대와 같이 출현한 것으로 보이나 크게 유행하는 것은 5세기 이후이다. 처음에는 입이 큰 잔을 얹기 위한 소형의 기대가 제작되었으나 차츰 사라지고 대가야 영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5세기 이후 중형의 기대가 유행한다. 대형은 부산, 김해지역에서 일찍이 제작되어 각지에서 삼국시대 전 기간 동안 유행하는데 각 정치집단마다 독특한 형태로 제작하여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냈다. 대형의 통형기대는 무덤의 특정지점이나 돋보이는 곳에서 출토되고 있는 점 등을 미루어보아 의례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이후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는 대형분에서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특정 신분을 알려주는 토기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 통형기대는 회청색 경질의 받침으로 태토는 모래가 일부 포함되었으나 소성은 양호하다. 접시형으로 벌어진 아가리의 중간부분에는 두 줄의 돌대를 돌렸다. 받침부분과 몸통은 한 줄의 돌대로 나눠진다. 몸통은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중간부분은 둥글며 상하의 두 부분은 원통형이다. 상단에는 4개의 세장방형 투창이 뚫려 있는데 투창사이의 네 면에는 두면씩 짝을 이루어 문양을 표현하였다. 두면은 그물을 다른 두면은 그물과 함께 방향이 다른 사선을 반대로 번갈아 나타냈다. 몸통과 굽다리는 한 줄의 돌대로 구분되고 굽다리는 바리를 엎어놓은 형태이다. 굽다리에는 몸통의 투창과 엇갈리게 네 개의 삼각형 투창이 뚫려 있다. 투창아래에는 두 줄의 돌대를 돌렸다. 내외면에 회전물손질이 되었으며 시문은 회전물손질 후에 이뤄졌다. 외면과 접시의 내면에 일부 자연유가 부착되어 있고 일부는 산화, 박리되었다. 굽다리의 일부를 수리, 복원하였다.
[활용설명]
단조로운 일상에서도 여러 가지 소품을 활용하게 되면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삼국시대의 통형기대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여 생활소품을 개발하였다. 삼각 투창과 낮은 굽다리의 특징을 잘 살렸다. 장식성이 높아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물건이다.
About this craft
1 textures
91,970 faces
206,093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