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구병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광구병은 주로 액체를 담는 목이 좁으며 넓은 아기를 갖춘 병을 일컫는다. 재질에 따라 토제와 금속제, 유리제 등이 있으며 고대 이래로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 광구병은 경주 황오동 326-1번지 건물지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회청색 경질의 병으로 태토는 사립이 포함된 점토이다. 소성은 양호하다. 가늘고 긴 목과 넓은 아가리를 갖추고 있다. 아가리부분의 내외면을 이단으로 형성했으며 입술부분은 편평하다. 목과 몸체의 연결부분에 점토띠를 덧붙이고 몸체에는 상하로 여덟 개의 능선을 붙였다. 능선의 사이에는 상하로 세 개씩 여러 장의 꽃잎으로 구성된 꽃송이를 배치하였다. 몸체의 아래쪽은 회전물손질 하였으며 굽은 거의 직선으로 내려와 단이 진 상태이다. 아가리와 굽다리에 일부 결실이 있지만 완형이다.
[활용설명]
광구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을 개발하였다. 몸체의 전면에 반복된 꽃송이를 중심으로 능선과 병의 형태를 완벽하게 반영하였다. 아가리와 굽다리에 보이는 결실된 부분을 재현하면서 정돈된 모습으로 보완한 모습이다. 요즘은 아가리가 넓은 형태의 병을 보기는 어렵지만 색다른 시각적 즐거움을 준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52,722 faces
141,993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