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학교 박물관
백자병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백자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도자기로 조선조 500년의 전 기간에 걸쳐 제작되었고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백자의 종류는 순백자를 비롯해 백자철화, 백자진사채, 청화백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조선시대 도요지는 경기도 광주일원에 중앙관요를 두고 제작하였으며 조선 중후기에는 분원에서 생산하였다. 분원은 1883년 관영(官營)이 폐지되고 민영화될 때까지 조선조 도자의 중요한 도요지였다. 이 백자병은 목이 굵고 입은 나팔꽃처럼 벌어진 형태이다. 어깨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점점 벌어지다가 몸통의 아래쪽에서 가장 풍만해진다. 표면에 아무런 문양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유약이 고르지 못하며 굽부분에는 유약이 시유되지 않았다.
[활용설명]
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을 개발하였다. 아무런 문양이 없으므로 형태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하였다. 이런 종류의 병은 요즘에도 많이 사용하는 물건이라 익숙할 뿐만 아니라 백자의 느낌을 품고 있어 소박함과 간결함을 맛볼 수 있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60,364 faces
156,699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