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양각연동자문대접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청자는 고려시대에 주로 만들어졌으며, 겉면에 푸른빛이 돈다고 하여 청자라고 불렀다. 청자는 철분이 들어 있는 백토로 자기를 만들고 철분이 들어 있는 유약을 칠해서 푸른빛이 난다. 유약의 색은 초록이 섞인 푸른색으로 비취색과 흡사하고 투명에 가까우며 태토의 색은 흐린 회색이기 때문에 청자의 색은 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이 되며 고려 사람들은 이를 비색이라 하였다. 청자의 태토와 유약은 청자를 만든 나라와 지방, 그것을 만든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굽는 방법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태토와 유약의 색이 조금씩 다르다. 본 유물은 입지름이 넓고 바닥은 입지름보다 좁은 대접이다. 담청색의 유약이 전면에 곱게 시유되었으며 몸체는 복원 처리되었으나 변색된 부분이 함께 있다. 대접의 안쪽 바닥에는 국화문을 새겼으며 측면에는 연꽃과 함께 동자를 양각으로 표현하였다. 외곽에는 아무런 문양이 없으며 바닥에는 유약을 닦고 세 곳에 규석받침을 놓아서 굽은 흔적이 보인다. 대접은 탁한 청색을 띠고 있으며 빙렬은 없다. 부안 부천리 요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활용설명]
깊은 청자대접을 활용해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대접의 안쪽에 양각된 동자와 연꽃을 잘 반영하였으며 대접의 형태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재현한 모습이다. 대접은 지금도 많이 사용하는 식기인데, 재현된 대접을 사용해서 음식을 담거나 기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About this craft
1 textures
83,708 faces
207,016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