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석주선 박물관
태사혜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태사혜는 운두(雲頭)가 낮은 마른신(마른 땅에 신는 신발)의 한 가지로 조선시대 사대부나 반가의 남자들이 편복(便服)에 신었으며, 조선시대 말기에는 왕도 평상복에 신었다. 이 신은 신의 외피(外皮)를 녹색 화문단(花紋緞)으로 싸주었고 내피(內皮)와 뒤축의 근피를 백녹피(白鹿皮)로 대어 주었다. 입구에는 백녹피로 선을 둘러 주었으며 신코와 뒤축에 회장(回粧)과 윗변(邊)은 홍색 비단으로 하여 화려하게 꾸몄다. 앞코에 2가닥의 코실과 뒤축에 5가닥의 칙실이 있다. 바닥은 안창에 연회색의 담을 깔아 주었고 밑창은 가죽에 징을 둘러 박았다. 튼튼하면서도 아름답게 꾸몄다.
[활용설명]
색색의 비단으로 튼튼하게 만든 태사혜는 남자들의 신발인데, 이를 그대로 재현하였다. 문양의 섬세한 표현과 고급소재인 비단이 사용되어 현대의 품위 있는 패션아이템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78,370 faces
181,416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