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석주선 박물관
흑사모
Description
[원천유물설명]
사모(紗帽)는 고려말부터 조선말까지 문무백관이 상복(常服)에 착용하던 관모로, 조선 후기에는 공복(公服), 예복(禮服) 등에 두루 사용되었다. 사모(紗帽)의 종류로는 흑사모(黑紗帽)와 백사모(白紗帽)가 있다. 흑사모는 조선 말기까지 가장 많이 사용된 대표적인 관모로 서민층에서도 혼례 때 신랑이 썼고, 백사모는 상사(喪事)때 썼다. 본 유물은 흑색의 모라(帽羅)로 겉을 쌌고, 겹각이 부착되었다. 모라는 익선관(翼善冠) 사모(紗帽), 갓 등의 모자를 만드는데 사용된 얇은 비단이다.
[활용설명]
관복과 같이 착용하거나 혼례 때 사용했던 모자인 흑사모를 그대로 재현하였다. 사극에서 소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상의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0 comments
About this craft
1 textures
83,338 faces
218,216 vertices
Download Info
Free
License
본 자료는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문화포털 사이트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culture.go.kr)
QRCode

